중얼중얼

|


1. 행복해서 고맙다.

오늘...미국 사는 전전전 여친님에게서 전화가 왔다.
평소와 다른 들뜬 목소리라 뭔 일이라도 있었나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오랜만의 데이트로 기분이 무척 좋더랜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나도 정말 기분이 좋았다.

헤어진지 얼마 안되어 다른 사람 만나 알콩달콩한 모습을 보았을 때의 배신감과
그리고 또 얼마 안되어 그 사람과도 헤어진 녀석을 보았을 때의 고소함.
이딴 몹쓸 감정이 들었을 때가 불과 일년 전인데,
이제는 그저 녀석이 좋은 사람 만나서 행복하게 잘 지냈으면 하는 마음이다.

그 녀석 뿐 아니라, 나와 같은 몹쓸 놈을 만나 마음 고생 많았던 녀석들...
그 녀석들 모두 다 누군가와 만나 사랑하며 행복하게 잘 살길 기도한다.

그런데 단 한사람 만큼은 그렇게 되길 바라면서도,
정작 그런 모습을 보면 새끼 손톱만큼은 쓰릴 것 같다.
그래도 뭐, 내가 그렇게 해줄 수 없다는 건 뻔히 알기에, 
그저 녀석이 누군가를 만나 사랑하며 항상 즐겁고 행복한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기원한다.

언젠가는 자그마한 쓰라림도 없이 축북해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말이다.



2. 무책임


태봉: 근데요 궁금한 게, 아줌마는 왜 내가 결혼 안했을 거라고 단정을 해요? 
        난 그런말 한적 없는데?
지애: 결혼했나 안했나는 눈을 보면 알지.
태봉: 눈이요?
지애: 태봉씨 눈은 책임감이라곤 찾아볼 수가 없어. 그냥 해맑기만 해.
태봉: 책임감?
지애: 유부남들의 눈은, 뭐랄까 조금은 세파에 찌들었달까? 가족에 대한 책임감. 
        어떻게든 버텨나가야 한다는 절박함? 뭐 그런 게 깃들어 있거든.


이제껏 보여주었던 윤상현의 캐릭터를 매우 좋아한다.
그가 연기했던 캐릭터들의 공통점은 바로 찌질거림.
그의 찌질대는 연기를 보며 웃고 즐기고 공감하게 되는 건,
내 안의 찌질거림과 많이 맞닿아 있기 때문일 듯 싶다.

해맑음은 없지만(내게 그딴 게 있을리가..;),
다른 이들이 보는 내 눈에서도 '무책임'이 보일 듯 하다.
연구, 사랑, 인간관계 등 생활이 책임감과 절박함 따위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무책임 그 자체니 말이다.



3. 무책임을 탈피하기 위해서...

무책임한 생활을 벗어나기 위해, 
그리고 정말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해보기 위해,

일단 TOEIC 공부를 시작했다..-_-a

비록 이틀 공부하고 친 것이지만, 
부끄러운 750점이란 점수를 일단 900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리스닝 허당인 내게 그게 과연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ㅜ.ㅜ;)

그리고 5월...홍콩 학회에 다녀오면,
편안하기 그지 없었던 삶에 절박함도 추가시켜보려 한다.
그동안 아무 내색도 보지 못했던 부모님과 연구실 선후배들, 그리고 몇 남지않은 친구들은 
아마 경악을 금치 못할지도...

무엇인가 절박하게 하고 싶은 것을 할 때만 
무서운 집중력과 노력을 보이는 내 모습을 잘 알기에,
늦었지만 뒤도 돌아보지 않고 달려보련다.

인생 뭐 있어? 지 하고 싶은거 하며 살아야지...





And

정책의 일관성

|


[단독] 정부 부처 홍보 평가 '부활'…논란 불가피
http://mbn.mk.co.kr/news/newsRead.php?vodCode=426155&category=mbn00006

케이블 스포츠 채널의 국내프로야구 중계문제와
며칠전 KBS의 KBL 챔피언결정전 생중계 중단에 대해서 짤막하게 얘기하려고 들어왔다가
MBN에서 저 뉴스를 보고 한 소리..
(대부분은 관심갖지 않는 마이너한 시사문제와 개인적인 잡글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이 블로그는 태생부터 본격 스포츠블로그를 지향했다.
물론 언급했던 국내 케이블 채널의 스포츠 중계는 나중에 시간될 때..+_+a)


우리 현 대통령 각하는 취임사에서 
"정부부터 유능한 조직으로 바꾸고자 합니다.‘
작은 정부, 큰 시장’으로 효율성을 높이겠습니다.‘일 잘하는 정부’를 만들겠습니다."
라고 밝히셨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226009003)
그리고 그 일환으로 노무현 정권에서부터 한나라당의 비판의 중심중 하나였던 국정홍보처를 폐지한다.


사실,
'국정홍보가 국정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국정이 이뤄지느냐'와
'국정홍보는 진지하고 열정적인 국정 실행을 통해 이뤄져야하며 따라서 국정홍보는 낭비일 뿐이다'라는
상반된 두 개념은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며 어느 쪽도 일방적으로 옳거나 그른 생각이 아니다.


다만, 대통령 중심제에서 국정(國政) 즉 국가의 정치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따라서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내가 진보와 중도보수라는 이념적으로 매우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정부를 지지한 것은,
노무현 정부에서 정책적 일관성이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패했건 성공했건, 그 정책이 좌측 깜빡이를 키고 우측으로 돌았건 아니건 간에 말이다.
그리고 우리 이명박 정부에 바라는 것은 정책의 좌편향 또는 우편향 이딴 게 아니라
그저 정책의 일관성이다. (민심이반의 중요한 이유였던 노무현 정부의 '대연정'을 생각해보라.)



그러면 과연(!?) 이명박 정부 정책의 일관성은?



효율성이라는 이명박 정부의 국정철학 때문인지,
아니면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의 노무현 혐오증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우리 대통령 각하는 취임과 동시에 국정홍보처를 폐지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국정홍보 자체가 비효율적이라는 생각과
버스전용차선과 청계전 복원처럼 자신의 국정은 결과적으로 국민의 동의를 받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효율성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국정홍보처 폐지와 함께 국정홍보 업무는 문화체육관광부로 이전한다.
그와함께 국정홍보예산은 2007년 137억원에서 2008년 90.8억원으로 삭감한다.
1년만인 2009년 국정홍보예산은 참여정부의 1.38배인 189.9억원으로 증가한다? 응?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344368.html)


거기다 오늘,
"정부 부처 홍보 평가는 대체로 참여정부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정부 부처 홍보평가 부활"에 관한 뉴스가 올라온다?


아...MB 형님, 제발 일관성 좀...





MB형, 저도 형 사랑하고 싶어요...최소한의 일관성만 보여준다면요...
그런 모습이 안보이는 지금은 비록 이렇지만요...ㅜ.ㅜ;
(http://www.cesco.co.kr/institute/View3_3.aspx?state=)




And